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회전근개 병변 진단도 AI…3D 시각화 프로그램 개발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왼쪽부터)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 서울적십자병원 정형외과 이수현 교수,  시안솔루션 서안나 대표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팀(서울적십자병원 정형외과 이수현 교수, 명지병원 정형외과 이지환 교수)과 시안솔루션(서안나 대표, 정영진 연구소장)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프트웨어로 회전근 개 파열 부위를 정밀하게 3D로 시각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보다 정교한 치료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회전근 개는 어깨를 돌리는 관여하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4개의 근육과 힘줄로, 회전근 개 파열은 대표적인 어깨 질환이다. 회전근 개 파열의 유무 및 파열된 위치와 크기, 모양의 판단은 수술적 치료에 있어,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현재 이는 세로 단면(Saggital), 가로 단면(Axial), 전면(Coronal view)의 수십장의 단면 MRI를 통해 머릿속으로 조합해 모양을 유추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비숙련의의 경우, 정확성과 재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Multiplanar reformation view. 빨간색 영역은 자동으로 분할된 RCT 병변을 나타낸다. 분할된 영역은 다중면(coronal, axial, sagittal) 방향으로 자유롭게 제어해 볼 수 있다.이에 정석원 교수팀과 시안솔루션은 회전근 개 파열 환자 303명의 MRI 데이터를 바탕으로 딥러닝 모델인 3D U-Net convolutional network를 이용해, 회전근 개 파열 병변 모양을 3D로 감지, 분할 및 3차원적으로 시각화하고, 파열 정도를 정량화하는 데 성공했다.그 결과, 실제 병변과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Dice coefficient score가 94.3%를 비롯, 민감도 97.1%, 특이도 95%를 보이며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시각화를 구현했다.정석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뼈 부분이 아닌 힘줄 부위를 3차원으로 시각화한 최초의 연구"라며 "회전근 개 파열 부위를 등급화하는 지금 단계에서 더 나아가 파열 부위의 segmentaion을 통해 시각화하고, 파열 정도를 정량화 한 혁신적인 연구"라고 의의를 밝혔다.연구팀은 "이번 개발로 회전근 개 파열 환자의 파열 부위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의사와 환자가 원활하게 소통하며 보다 환자에게 적합한 수술방법을 결정하고, 예후를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이번 연구 논문은 'Automated 3-dimensional MRI segmentation for the posterosuperior rotator cuff tear lesion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로 저명한 국제 저널 PLOS ONE에 게재됐다.
2023-10-16 12:07:29병·의원

"B형간염 항바이러스제, 간암 발생 위험 차이 없다"

메디칼타임즈=원종혁 기자 경구용 B형간염 항바이러스제의 간세포암 발생 위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바이러스제 대표 옵션으로 '엔테카비르(ETV)'와 '테노포비르(TDF)'를 비교한 홍콩 및 국내 일부 코호트 결과가 앞서 발표된 바 있지만, 이번 결과는 복약순응도와 치료제의 지속바이러스 반응을 고려해 저울질한 결과였다. 올해 리버위크 학회장에는 국내 항바이러스제 사용과 관련한 다양한 임상결과가 공개됐다. 포스터 부스 전경. 21일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 중인 대한간학회 'The Liver Week 2019' 정기학술회에서는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별 간세포암 발생률을 비교한 국내 결과 일부가 포스터 발표됐다. 울산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박능화, 신정우, 정석원 교수팀은 앞서 항바이러스제 엔테카비르 등을 이용해 복약순응도와 관련해 간암 및 합병증, 사망률에 차이가 있다는 임상결과를 작년 7월 미국소화기학회지(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에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임상은 이에 연장선상으로, 대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인 엔테카비르와 테노포비르 복용군에서 간암과 사망, 간이식 발생 위험을 비교 평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제의 복약순응도와 지속바이러스반응(MVR)에 따라, 치료기간 이상반응 발생 위험을 낮추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는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복약순응도와 지속바이러스반응에 초점을 맞춰, 간세포암과 사망 또는 간이식 위험을 각각 따져본 것이다. 임상에는 치료경험이 없는 만성 B형간염 환자 총 1794명이 등록됐고, 1년 이상 엔테카비르 치료군(894명)과 테노포비르 치료군(900명)의 결과가 추적관찰됐다. 그 결과 복약순응도 비율은 테노포비르 치료군에서 93.4%로 엔테카비르 치료군 89.1% 대비 유의하게 높았다. 다변량 분석결과, 간세포암의 발생을 비롯한 사망 또는 간이식 위험은 두 개 치료군에서 비슷하게 나왔다. 특히 이러한 복약순응도와 지속바이러스반응을 보정한 결과는 위험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것. 임상 아웃콤 분석에서도 치료제간 유효성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능화 교수팀은 "결과적으로 테노포비르 치료군에서 복양순응도가 보다 높게 나왔지만 주목할 점은 이러한 순응도나 지속바이러스반응을 고려한 분석에서는 사망이나 간이식, 간세포암 위험에는 차이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자 개개인이 병의 진행을 막기 위해 약을 임의로 중단하거나 중간에 빼먹지 않고 처방에 맞게 약을 잘 복용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의료진도 환자의 복약지도를 철저히 하여 복약 순응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작년 7월 미국소화기학회지에 발표된 박 교수팀의 연구는 B형간염 항바이러스제의 복약순응도가 병의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검토한 결과였다. 임상에서는 엔테카비르를 10년 이상 장기간 복용한 환자 894명을 대상으로 복약순응도가 낮을수록 간암 및 합병증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연구결과 복약순응도가 90% 이하인 환자는 90% 이상인 환자와 비교해 간암 발생 및 간경변증 합병증 발생이 각각 3배 정도 높았다. 사망률은 약 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06-21 11:41:09학술

흡연, 어깨 회전근 봉합술 후 재파열 확률 가능성 높인다

메디칼타임즈=황병우 기자 국내 의료진이 흡연과 어깨 회전근 개파열 봉합술과의 연관관계를 밝혀 주목된다. 건국대병원은 최근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가 흡연이 어깨 회전근 개 힘줄의 변성도를 높이고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 후 재파열 확률도 높일 수 있다고 논문을 통해 밝혔다고 10일 전했다. 정석원 교수는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봉합수술을 시행한 환자 249명을 대상으로 현재 흡연 중으로 누적 흡연량이 20년 이상인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눠 회전근 개 힘줄의 변성도와 파열 봉합술 후 재파열 정도, 어깨의 기능적 검사 결과를 비교했다. 또한 각 그룹은 회전근 개 재파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와 파열크기, 회전근 개 근육 지방 변성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통계기법인 성향 점수 매칭 방식을 이용해 변수의 차이가 없도록 맞췄다. 그 결과, 흡연자 그룹의 힘줄 변성도(47.1%)가 그렇지 않은 그룹(26.5%)보다 더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파열 봉합 후 재파열 확률도 흡연자가 29.4%, 그렇지 않은 그룹이 5.9%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게 있어 흡연이 봉합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첫 연구"라며 "호흡기 질환 뿐 아니라 정형외과 영역에서도 힘줄 치료 결과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 논문은 정형외과 분야에서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가 가장 높은 유력 학술지인 미국 스포츠의학회지(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IF=6.057) 2018년 10월호에 게재됐다.
2019-04-10 10:29:44병·의원

테니스 정현 선수, 건국대병원서 정밀검진 '눈길'

메디칼타임즈=박양명 기자 호주 오픈 테니스 대회에서 우리나라 처음으로 4강에 올라 화제 중심에 있는 정현 선수(29위, 삼성증권 후원)가 건국대병원을 찾았다. 건국대병원은 정현 선수가 정형외과 정홍근 교수와 김진구 교수, 정석원 교수, 성형외과 최현곤 교수, 피부과 이양권 교수 협진으로 부상 부위 발바닥을 비롯해 부상방지를 위한 종합정밀검사를 받았다고 7일 밝혔다. 정현 선수의 부상 부위 발바닥 정현 선수는 16강전 노박 조코비치 선수와의 경기에서 발바닥 부상이 심해져 8강전부터 진통제 주사를 맞고 출전했지만 경기를 기권했다. 정현 선수가 건국대병원을 찾으면서 병원과이 인연도 눈길을 끌고 있다. 정현 선수 어머니인 김영미 씨는 건국대병원 물리치료사로 근무했고 아버지 정석진 씨는 건국대를 졸업한 동문이다. 또 형인 정홍 씨도 건국대 테니스 선수로 활약하며 현재 건국대 대학원에 재학 중이다. 김영미 씨는 "정현 선수가 투어 선수로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체계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움 준 건국대병원과 앞으로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현 선수는 호주 오픈 테니스대회에서 준결승까지 진출하며 개막 전 세계랭킹 58위에서 29위로 도약했다.
2018-02-07 09:23:21병·의원

회전근개 파열에서 근위축 초래 분자기전 밝혔다

메디칼타임즈=박양명 기자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팀은 회전근개 파열에서 근육의 지방 변성과 근위축을 초래하는 새로운 분자 기전을 밝혀냈다고 2일 밝혔다. 왼쪽부터 정석원 교수, 이용수 박사, 김자연 연구원 연구팀에는 정석원 교수를 비롯해 이용수 박사, 김자연 연구원이 있다. 정 교수팀은 회전근개가 파열되면 근육 내 저산소증이 발생하면서 FABP-4(fatty acid binding protein-4)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FABP-4는 세포 내 지질을 이동시키고 저장하는 단백질로 주변 조직에서 근육 내로 지방 이동을 촉진해 지방 변성을 심화시킨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FABP-4의 발현을 억제해 회전근 개 파열에서 근위축이나 근육의 지방변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정석원 교수는 "그동안 근육이 지방변성을 일으키는 과정은 세포 분화 기전으로만 설명됐었다"며 "이번 연구는 지방변성이 세포 이동으로 이뤄지는 기전을 최초로 밝힌 연구"라고 의의를 밝혔다. 이어 "노인에게 나타나는 근감소증을 억제하거나 호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면에서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악액질, 근감소증과 근육 저널(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IF 7.883)'에 실렸다.
2017-06-06 00:56:28병·의원

"오십견 주사치료 효과, 관절팽창술 가장 빨라"

메디칼타임즈=박양명 기자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주사치료제 중 관절팽창술 효과가 가장 빠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석원 교수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는 오십견에 대한 주사치료의 효과 비교 분석을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9일 밝혔다. 정 교수의 연구결과는 어깨 관절 국제학술지 '어깨와 팔꿈치 수술 저널(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에 게재됐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면서 통증과 함께 어깨를 돌리거나 위로 올리는 등의 운동성에 제한이 생기는 질환이다. 약물과 물리치료, 운동치료로 1차 치료를 하고 효과가 없으면 주사치료를 시행한다. 주사는 관절강내 또는 견봉하 공간에 스테로이드를 주입하거나 관절팽창술을 시행한다. 정 교수 팀은 주사 치료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관절강 내 주사군 29명, 견봉하 공간 주사군 29명, 관절팽창술 28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1, 3, 6개월 시점에 통증 정도와 전방 굴곡과 외회전, SST(Simple Shoulder Test)점수, Constant(유럽어깨기능평가)점수 등을 통해 어깨 기능의 회복 정도를 기록했다. 그 결과 치료 후 1개월이 지났을 때는 관절팽창술이 다른 주사 치료에 비해 전방 굴곡과 외회전, 통증 정도는 물론 SST와 Costant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호전된 결과를 보였다. 3개월 후에는 관절팽창술이 어깨 기능을 평가하는 모든 항목에서 다른 주사 치료보다 유의미하게 나은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6개월이 지난 후에는 모든 주사치료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정석원 교수는 "세 가지 주사 치료를 받은 환자를 무작위로 선택해 6개월 간 추적 조사한 전향적 연구"라며 "주사치료와 수술을 대조로 비교한 연구"라고 의의를 설명했다. 이어 "관절팽창술의 빠른 효과를 입증하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주사치료의 효과도 보여준 연구"라며 "연구 결과가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를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2016-10-20 21:59:52병·의원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